본문 바로가기

정보보호

[위험관리] 상세 위험분석 (Detailed risk analysis)

728x90

출처 - KISA 정보보호관리체계 위험관리 가이드 (2004)
https://www.kisa.or.kr/204/form?postSeq=010304&lang_type=KO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제1장 개요 제1절 목적 제2절 적용 대상 제3절 정보보호관리체계 수립 가이드 구성 제4절 이 가이드의 구성 제2장 위험관리 과정 개요 제1절 위험관리의 정의 제2절 위험관리의 필요성 제3장 위험

www.kisa.or.kr


1. 상세 위험분석 절차

위험분석의 절차는 자산 분석, 위협 평가, 취약성 평가, 정보보호 대책의 평가를 통해 잔존 위험을 평가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음

1) 자산 분석
  a. 주요 자산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목록을 작성한다.
  b. 각 자산에 대하여 조직에 대한 가치를 평가한다.
  c. 각 자산에 대하여 비밀성, 무결성, 가용성의 요구 정도를 평가한다.
  d. 세 가지 보안속성과 해당 자산의 가치에 기초하여, 각 위협에 따른 보안사고가 각 자산에 미치는 영향(손실)을 판단한다.

- 결국 어떤 자산을 어떤 방법으로 어느 정도 비용으로 보호해야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함
- 따라서 위협에 대한 영향이 달라지는 것을 고려하여 주요 자산 중심으로 분류하고, 자산의 목록은 자산의 가치평가 및 비밀성, 무결성, 가용성 요구사항이 달라지는 수준에서 그룹핑하는게 좋음

2) 위협 분석 및 취약성 분석 단계
- 우려되는 발생 가능한 위협을 목록화하고 각각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
- 위협에 대한 취약성을 자산 별로 확인하여 그 정도를 결정
- 모든 위협을 고려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중요한 위협을 빠뜨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
- 위협의 발생 가능성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검증할 수도 없지만, 그럼에도 위협의 발생 가능성을 추론하는 것은 중요함
- 취약성 분석도 모든 취약성을 나열하는 것은 불가능함
- 그래서 파악된 위협에 대해 자산별로 취약성을 평가하거나 인증심사 기준과 같은 표준적인 대책 목록에 대하여 구현 여부를 확인한 후 구현되지 않은 대책의 영향을 파악하기도 함
- 우려(concern)라는 표현으로 위협과 취약성을 통합한 개념으로 가능성을 평가하기도 함

3) 정보보호대책의 효과 평가
- 자산, 위협, 취약성을 분석하여 파악한 위험을 원천 위험(original risk)라고 함
- 취약성 평가 시에는 이미 설치된 보안 대책의 보호 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평가했음
- 정보보호대책의 적용에 따라 취약성을 낮추거나 피해의 규모를 감소시키거나 위협의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음
- 따라서 마지막에는 자산에 대한 존재하는 위협 및 취약성에 대비하여 이미 설치된 정보보호대책의 효과를 평가하게 됨
- 이렇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현재 조직의 위험 규모를 평가하게 됨


2. 정성적 위험평가와 정량적 위험평가


1) 정성적(Qualitative) 위험평가
- 손실이나 위험의 개략적인 크기로 비교
 ㄴ ex. 화재 위험이 높다, 해킹 위험이 낮다
- 위험을 어떤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묘사함
 ㄴ ex. 네트워크 호스트의 기술적 장애
 ㄴ ex. 외부인에 의한 사용자 ID 도용
- 그 정도는 매우 높음, 높음, 중간, 낮음 등으로 표현하거나, 5점 척도, 10점 척도의 점수화가 사용되기도 함

장점
- 금액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정보의 평가가 가능
- 분석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고 이해가 쉬움

단점
- 표현이 주관적이어서 사람에 따라 그 이해가 달라질 수 있음

2) 정량적(Quantitative) 위험평가 
- 손실 및 위험의 크기를 금액, 숫자 값으로 나타냄
 ㄴ ex. 조직의 연간 예상 손실액
- 연간 예상 손실액(ALE, Annual, Los Expectancy)을 계산하기 위해 모든 값들을 정량화 시켜서 표현
 ㄴ 연간 기대 손실은 어떤 위협이 성공했을 경우 예상 손실액(Single Loss Expectancy)에 그 위협의 연간 발생률(Annual Rate of Occurrence)을 곱한 값

장점
- 비용・가치 분석이 수행될 수 있고, 예산 계획에 활용할 수 있음
- 평가된 값이 의미하는 바가 분명함

단점
- 분석에 필요한 시간, 노력의 비용이 커짐
- 이러한 값이 실제 자산의 가치를 정확히 반영할 수 없음


728x90